정보·알림
Information / News

열린게시판

제목 [Vol.90/2018.02] 갯벌로에서 _ 홍콩 땅을 지키려는 목소리들 _ 장정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17 조회수 64

[Vol.90/2018.02] 갯벌로에서 _ 홍콩 땅을 지키려는 목소리들 _ 장정아




새해를 여는 첫날 홍콩에서는 일지양검(一地兩檢)’ 실시에 항의하는 시위행진이 있었다일지양검은 중국 광저우와 홍콩을 잇는 고속철도의 종착역인 홍콩 웨스트카우룽역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중국대륙과 홍콩 출입경을 함께 진행하려는 계획이다역내의 일부 구역에 대해 중국정부가 임대료를 내고 중국 보안요원이 상주하며이 구역과 열차 내부에서는 중국 법이 적용된다홍콩인들의 가장 큰 우려는 홍콩 땅 내에서 중국대륙 법이 집행되는 선례가 생겨난다는 점이다.

 

홍콩 정부는 입출경 절차를 동시에 진행해야 효율이 극대화되고 대륙과의 연결 강화가 홍콩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하지만 법적 해석에 대해 여전히 논란이 많다그런데 사실 논란은 웨스트카우룽역의 일부 구역 임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논란의 뿌리는 약 10년 전 홍콩 땅 침범에 대한 두려움을 촉발시킨 큰 사건으로 이어져 있다당시 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홍콩 북부 신제(新界)지역 일부를 철거한다는 계획이 처음 발표됐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다그런데 사람들이 이름도 잘 모르던 한 마을에서 홍콩 역사의 분수령이라고까지 할 만한 사건이 생겨났다.

 

140여 가구가 살던 차이위안(菜園)촌 철거 계획이 2009년 발표되자촌민들은 반발하기 시작했다그들의 요구는 더 많은 보상이 아니라 그대로 농사지으며 살고 싶다는 것이었다특히 신제 지역 재개발이 대륙인을 위해서라는 강경 반대파의 주장이 널리 퍼지며 전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됐다.

 

신제 개발과 고속철도 건립이 모두 홍콩 땅을 팔아넘기는’ 것이라는 주장은 폭발력을 가졌고 젊은이들은 점점 모여들었다반대파 내에서도 이런 주장은 너무 단순하고 선정적이라는 비판이 있었지만이미 거센 흐름이 돼 버린 정서적 분노 속에서 비판은 묻혀버렸다.

 

사람들은 함께 모여 영화 아바타를 보면서 이것은 우리 땅이다라는 영화 속 대사에 감정을 이입하며 눈물을 흘렸다. ‘오늘은 차이위안촌을 빼앗기지만 내일은 우리 모두의 집터를 빼앗길 것이라는 슬로건 속에서지켜야 할 것은 차이위안촌을 넘어 홍콩 땅 전체가 됐다. ‘우리 땅이라는 구호가 갖는 흡인력은 강력했다.

 

젊은이들은 순찰대를 만들어 마을을 지키고 불도저를 막아서다가 잡혀갔다고속철도 예산 심의는 계속 저지됐고, 2010년 마지막 심의 때는 1만여 명이 입법회를 포위하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하지만 결국 예산 심의는 통과됐고차이위안촌은 지켜내지 못했다그러나 끝이 아니었다촌민들은 집단이주해 농사짓고 살겠다는 제안을 즉각 제기했다시간이 길어지며 포기한 주민이 많았지만, 47가구는 끝까지 남아 긴 싸움을 했다.


갯벌로에서.jpg

 

최초로 촌민들이 집단이주해 공동체를 새로 만드는 과정은 쉽지 않았고 정부와의 충돌기소와 시위가 계속됐다그러나 홍콩 역사상 전례 없던 이 싸움은 매일 새로운 기록을 써나갔다철거가 진행되는 논밭 위에서 폐허예술제를 열었고다시 농사지으며 살아갈 땅을 함께 물색했다또한 새로 만들 마을의 합작생산 운영방식을 토론하고 모든 것을 주민의 손으로 만들어나갔다. 10여년이 걸려 마침내 새로운 마을이 만들어졌다.

 

차이위안촌 사건의 가장 큰 의미는 홍콩에 농촌이 있다는 것을 사실상 처음으로 시민들이 깨닫게 했다는 데 있었다삶이 완전히 바뀌는 젊은이들도 등장했다도시에서 태어나 자란 젊은이 중 신제에 들어가 정착해 살면서 농사를 짓는 사람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그들은 신제에서 농사를 지으며 홍콩에 농촌이 왜 필요한지농사를 짓고 사는 삶이 홍콩에서 어떤 의미인지 생각하게 됐다.

 

홍콩인이 먹을 쌀과 채소를 홍콩에서 생산하자는 운동은 큰 의미를 가진다과거 홍콩은 식량자급률이 높았지만여러 이유로 점점 낮아져 현재는 쌀도 거의 전부 수입하고 채소자급률은 2%도 안 된다자급률을 다시 높이자는 것은 단순히 자기 땅의 농산물이 몸에 좋기 때문이 아니다중국대륙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물질적 기반을 만들자는 것이다이는 끊임없는 개발을 통해 중국대륙에 점점 통합되는 것 외에 홍콩이 살 길은 없다는 정부의 주장에 대해 대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이다.

 

2010년 예산 통과 저지행동 중 사흘에 걸친 ‘26보 1’ 고행이 있었다고속철도의 홍콩 구간이 26임을 상징하는 26보마다 한 번씩 무릎을 꿇고 절하는 것이다. 20~30대 젊은이가 주축이 된 이 고행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자막은 이렇게 말한다.

 

아이들이여너희의 아이들은 다시는 무릎을 꿇게 하지 말기를 빈다본래 자신의 것이었던 그 무언가를 구걸하며 무릎을 꿇어야 하는 일이 다시는 없기를.”

 

이 비장함은 긍정적 측면만 가진 것은 아니다. ‘홍콩 땅을 중국에 빼앗길 수 없다는 외침은 선정적이기도 했다마을을 지키자며 모여든 이들의 감정이입과 분노 속에는 대륙인에 대한 강한 배척도 깔려 있었다는 점에서 이것은 위험한 비장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이위안촌 사건이 홍콩 역사에서 분수령이 된 것은홍콩을 오랫동안 지배해온 가치빠른 발전과 효율성의 추구를 지상목표로 삼던 가치를 대체하는 가치를 만들어낸 데 있다그것은 세상을 뒤바꾸겠다는 강렬한 구호가 아니지만가치관을 바꾸고 물질적 기반을 만들어낸 점에서 커다란 폭발력을 담고 있다고행하는 젊은이들이 무릎을 꿇고 절하며 손에 받들고 있었던 것은 그 어떤 깃발도 구호도 아닌 과 씨앗이었다.


장정아 _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 중국·화교문화연구소장


                                          


*  이 글은 '아주경제'와 인천대 중국학술원이 공동 기획한  『아주차이나』 [仁차이나 프리즘] 2018년 1월 17일에 게재된 것을 수정한 것임.

** 이 글에서 사용한 이미지의 출처는 다음과 같음.

http://bit.ly/2El2D9A



0 comments
작성자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