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알림
Information / News

열린게시판

제목 [Vol.89/2018.01] 현장&공간 _ 연구성과 소개 _ 이정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17 조회수 54

[Vol.89/2018.01] 현장&공간 _ 연구성과 소개 _ 이정희





     201708291351410040.jpg


이정희, 「조선화교 중화요리점의 실태: 1927-1945년의 시기를 중심으로」, 『경제사학』 제41권 제3호(통권 제65호), 경제사학회, 215-247쪽.


본고는 1927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 조선화교의 중화요리점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필자는 이미 188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시기 조선화교의 중화요리점에 관해 검토한 바 있다(화교의 중화요리점 연구: 1880년대1920년대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114, 2017). 일찍이 서울과 인천 지역에 세워지기 시작했던 1880년대 조선화교 중화요리점은 주로 화교를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1920년대 들어 중화요리점은 급속히 증가하여 1930년에는 2,774개로 급증했으며, 대도시는 물론이고 전국 각 군청 소재지까지 침투하여 중화요리가 호떡을 중심으로 대중화 시대를 맞이했다.

 

조선총독부는 중화요리점을 크게 3가지로 분류했다. 먼저 호떡집은 1인 혹은 가족 경영으로 각종 빵과 과자 종류를 판매하는 곳이었다. 이보다 규모가 큰 중화요리음식점은 종업원 4-10명을 두고 우동, 잡채, 양장피 등을 판매했다. 고급 중화요리점은 10명 이상의 종업원을 두고 2층 건물의 넓은 공간에서 광동요리, 북경요리의 고급 중화요리를 판매하고 요정의 역할도 했다. 본고에서는 이 3가지를 통칭할 때는 중화요리점이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선화교의 중화요리점은 1927년과 1931년에 발생한 2차례의 화교배척사건, 그리고 1930년대 중일간의 마찰로 인한 민족갈등 그리고 1937년 발발한 중일전쟁과 전시통제경제로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1927년 화교배척사건 때 중화요리점은 전국적 규모가 아니라 전라북도, 충청남도, 인천부 일원을 중심으로 군중의 습격을 받아 유리와 기물이 파손되거나 일시적으로 영업을 하지 못하는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중화요리음식점이 감소하기는 했지만 곧바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1931년 화교배척사건은 전국적인 규모로 발생했으며 피해의 정도가 보다 심각했다. 중화요리음식점의 경우 전국적으로 약 600개소가 감소했다. 경성의 경우, 중화요리점 점포 가운데 전체의 약 4할이 피해를 입었으며 투석 및 유리창과 문 등의 기물파손이 전체의 5할 이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귀국한 화교가 조선으로 점차 돌아왔으며 새롭게 중화요리점을 시작하는 화교도 증가, 1936년 말에는 1930년 수준까지 거의 회복했지만, 호떡집은 그렇지 못했다. 중일전쟁은 1931년 화교배척사건 때보다 더 높은 중화요리점 감소율을 초래했다.

 

전쟁 발발 이후 점차 중화요리점의 개수가 증가하지만 1931년 화교배척사건 때보다는 완만했으며, 1943년에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것은 조선총독부의 전시통제경제의 강화 및 밀가루 배급제 실시에 의한 것이었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조선인과 일본인 경영 요리점 및 음식점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화교 중화요리점 만에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0 comments
작성자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