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알림
Information / News

열린게시판

제목 [Vol.56/2015.04] 연구성과 소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04 조회수 37

연구성과 소개


박경석, 「淸末民國時期 地方祀典의 지속과 변용 - 중국 동북지역의 官方祭祀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제65집, 2015.3


본고는 필자가 동북지역의 민간신앙에 관해 발표한 2편의 논문에 이은 후속편이다. 동북지역 민간신앙의 제반 양태를 고찰하는 일은 인천대 인문한국(HK) 사업단이 2단계(2012~2015)에 수행해야 할 연구 아젠다 중의 하나였다. 하지만 쓸 만한 사료가 거의 없고 기초적인 연구조차 되어 있지 않아 연구에 착수할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이런 차에 우연히 500페이지 곱하기 12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대한 당안 자료집(遼寧省档案館 編,『中國近代社會生活档案(東北卷一)』,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5.)을 취득하면서 용기를 낼 수 있었다. 이에 민간신앙과 민간종교결사에 대한 논문에 이어 관방제사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애초에 계획했던 3편의 논문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필자는 이 3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동북지역 민간신앙에 대한 거의 유일한 역사연구자인 吉林大의 劉揚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총서를 발행할 예정이다.


본고는 淸代와 民國時期에 걸쳐 동북지역의 祀典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淸代의 경우 동북지역에서도 전국적으로 通用된 9종의 ‘全國通祀’가 그대로 시행되었고,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擧行해야 했던 ‘部分 通祀’도 잘 시행되었다. ‘全國通祀’와 ‘部分通祀’를 합하여 대략 15종의 官方祭祀가 거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당시 동북지역은 帝國의 國家祭祀?系 안에 확실히 통합되어 있었다.


中華民國이 성립되고 南京臨時政府는 淸代의 祀典을 전반적으로 개혁하려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동북지역을 포함해 지방에서는 전통적인 祀典을 이어가려는 강한 慣性을 보였다. 이어 袁世凱政府는 1914~15년간에 걸쳐 祀典을 본격적으로 재정립하는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 요컨대, 社稷, 風雲雷雨山川, 城隍, 先農, 龍神 등 自然神은 폐지하고, 祭天과 祀孔은 부활시키고, 關帝를 岳飛와 合祀해 편입하였다.


크게 보아 祀孔과 關岳合祀로 재구성된 民國祀典은 【祀孔典禮】나 【關岳合祀典禮】에서 보듯이 전통적인 방식을 기본적으로 계승하였다. 동시에 일정한 변용이 모색되기도 했다. 15종의 잡다한 官祀가 祀孔, 節孝祠, 關岳合祀, 義勇祠 등으로 대폭 축소되었다. 또한, 鞠躬禮의 중시나 儀禮의 간소화에서 보듯이 典禮를 부분적으로 정비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전통적인 祀典의 기반이 되었던 황제지배체제가 붕괴된 직후인 民國初期는 祀典의 전환에 있어 관건이 되었던 시기로서, 국가제사에 있어 전통과 근대의 긴장 관계가 최고조에 달했다고 볼 수 있다. 자연신 숭배의 폐지 및 숭배 대상의 축소 정비, 의례의 정비와 간소화 등은 근대적 변모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국가제사도 내셔널리즘이 흥기해 ‘國民國家’가 ‘專制’를 대체하고, ‘科學’이 ‘迷信’을 강력히 비판하는 시대적 흐름에서 벗어나 있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이를 전통적인 祀典의 단절로 볼 수는 없다. 淸代에서 民國으로 祀典의 형식과 내용이 다양하게 변화하였음에도 근본에서 벗어나지는 않았다 것이다. 여기서 근본이란 국가제사가 사회적 통제와 통합의 기제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帝國의 통합성을 뒷받침하는 하부시스템’의 일환이었다는 것이다. 국가제사는 왕조의 교체에도 끊이지 않고 전승되어 매우 강한 안정성과 연속성을 나타냈고, 중앙과 지방이 하나의 祀典을 공유함으로써 ‘문화적 대일통’을 확보할 수 있었는데, 이런 기본 틀이 民國時期에도 지속되었다.


숭배대상의 대폭 축소나 의례의 정비 및 간소화 등 東北地域의 祀典에 이런 저런 변화가 발생한 것은 지방이 【祀孔典禮】나 【關岳合祀祭禮】와 같은 중앙의 祀典을 공유한 결과였다. 국가제사는 중앙과 지방이 가장 공감했던 소통의 통로이자 매개였을지도 모르겠다. 반면에 南京臨時政府나 南京國民政府가 기존의 祀典을 顚覆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을 때 지역에서는 이를 수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국가제사가 가진 역사적 지속성을 잘 나타낸다. 국가제사는 여전히 ‘帝國的’ 통합성을 유지하는 기제로서 효용 가치가 있었다.


특히 北京政府時期는 ‘군벌할거’라고 불릴 만큼 원심력이 강했던 시기였음에도 오히려 국가제사를 둘러싼 통합적 ‘제국체제’는 구심력을 잘 유지하였다. 다시 말하거니와, 국가제사는 중앙과 지방이 강력한 공감대를 형성했던 기제 중의 하나였고, 전통적으로 ‘제국체제’를 유지시켜 주던 중국 특유의 하부시스템이 잘 작동되었던 사례로 볼 수 있겠다.


0 comments
작성자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