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소개
「만주국 이전시기 동북 대두의 국내 유통 네트워크」, 『중국근현대사연구』 61호, 2014.03, 119-158쪽. |
손승희 _ 인천대학교 HK 연구교수
본고는 동북사회를 중국내지 혹은 국제적 의존구조로 인해 자체적 발전이 불가능한 종속사회였다는 견해에서 탈피하여, 동북사회 내부를 주목하고자 했다. 대두는 철도, 이민과 상호 촉진작용을 통해 근대 동북의 사회경제 구조를 결정짓는 역할을 했다. 기존의 대두 관련연구는 대두상품 수출을 통한 국제 유통구조나 이를 둘러싼 금융방면에 집중한 연구가 주류이지만, 본고에서는 국내 유통 네트워크에 주목했다. 특히 동북 각 성 官銀號와 그 부속사업의 관계, 糧棧의 연호관계를 통해 대두의 국내 유통구조를 보다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동북의 대두가 국제상품화가 되고 대두가공업이 전문화, 영업화 되면서 대두의 유통을 담당했던 양잔이 동북에서 흥기했다. 특히 동북의 대두는 농민에서 지방양잔, 지방양잔에서 집산지 양잔, 집산지 양잔에서 대두가공업자 혹은 수출상에게 매각되는 일련의 유통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때문에 상품으로서 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대두상품은 양잔의 손을 거쳐야만 했다. 더욱이 청일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시기 일본과 유럽의 대두상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동북의 대두산업은 전성기를 맞이했고, 대두상품을 유통시키는 양잔은 그 집산과 분산과정에서 당시 동북의 가장 유력한 재화 축적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양잔의 수익성은 상인 뿐 아니라 권력의 관심을 집중시켰고 이는 곧 ‘官商’을 통한 대두매입이라는 현상을 낳게 했다. 1920년대 동북정권은 東三省官銀號, 吉林永衡官銀錢號, 黑龍江廣信公司나 이들과의 개인적인 친분관계를 통해 대두유통에 개입하여 막대한 이익을 획득했다. 이러한 관상은 봉천성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길림성이나 흑룡강성의 관상도 그 존재 양태나 운영방식은 동일했다.
양잔은 대두를 매입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이 필요했는데, 각 성 관은호에 속해있던 관상 양잔은 대두 매입자금을 總號에서 조달받았을 뿐 아니라 관상은 물론 일반양잔도 聯號關係를 통해서 자금을 융통받았다. 양잔 간에는 실제로 어떤 연호관계가 존재했으며 이들 간의 상호교류는 어떻게 작동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1920년대 후반 동북 주요도시의 양잔 109개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동북의 양잔은 대부분이 크고 작은 연호관계로 얽혀있으며, 다수의 양잔이 大連, 奉天, 營口, 長春, 哈爾濱 등 대도시 혹은 수출항에 본점을 두고 각지에 지점을 두어 경영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북의 대표적인 양잔 연호는 봉천성의 東永茂, 泰和順, 길림성의 永字號, 흑룡강성의 廣信公司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 연호를 통해 연호의 본.지점 관계도 살펴보았다. 특히 본.지점 관계는 영자호와 광신공사를 중심으로 했기 때문에 관상으로서의 성격과 연호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동삼성관은호, 길림영형관은전호, 흑룡강광신공사는 동북 각 성의 중앙은행으로서 대두매입을 위해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으며, 연호관계에서는 총호로서 分號와 支號를 통해 각종 수익사업을 경영함으로써 성내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었다. 지호의 출자금이나 대두 매입자금은 총호에서 조달했으며, 지호에서 영업 손실이 나면 총호에서 이를 충당해주어 지호가 계속 영업을 해나갈 수 있도록 손실을 보전해주었다. 총호는 지호에 대해 거래와 경영 상황을 감독하고, 지호는 이를 매월 총호에 보고하는 구조였으며, 지호 간에 긴밀한 연락을 통해 대두를 매입했다.
이렇게 양잔은 대두유통의 중심적인 위치에서 생산자인 농민에서부터 권력에 이르기까지 종적으로 연결시켜 주었고, 연호관계를 통해 양잔 상호간, 곡물상, 대두가공업자, 수출상 등 각 상인계층을 횡적으로 연결시켜 주었다. 이러한 종적, 횡적 결합으로 축적된 부는 다시 각지의 直.方係 연호조직으로 확대되었다. 이처럼 양잔은 대두를 매개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동북사회의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거대한 상인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