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알림
Information / News

열린게시판

제목 [Vol.39 /2013.11] 자료소개 _ 保定房契檔案匯編(淸代民國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2-23 조회수 59

[Vol.39 /2013.11] 자료소개 _ 保定房契案匯編(淸代民國編)

 손승희 _ 인천대학교 HK 연구교수

 

자 료 명 : 『保定房契檔案匯編(淸代民國編)』 全10

/저 자 : 刘秋根、张冰水 主编

출 판 사 : 河北人民出版社

출판년도 : 2012

I S B N : 978-7-202-06276-0

    : 중국어(간체)

 

 

『保定房契檔案匯編』은 保定市檔案局에 소장되어 있는 보정지역의 房契(토지·가옥 계약문서)를 수집, 정리한 당안자료집이다. 이 당안집의 출판에는 河北大學 歷史學院과 宋史硏究中心華北硏究所, 河北大學社會經濟史硏究所, 保定市檔案局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보정시당안국은 2002년부터 10년 이상 『歸檔文件整理指導手冊』을 비롯하여 『保定五百年疫情及防疫檔案資料摘錄』, 『保定市案館指南』, 『保定大事記』, 『保定農業史料槪覽』(1, 2), 『保定商會』, 『保定年監』 등 소장 당안의 정리와 출판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이 자료집도 그 성과 중의 하나이다.

 

『保定房契檔案匯編』은 하북대학의 劉秋根, 張冰水가 主編을 맡고 唐曄, 梁松濤, 辛書田, 趙靜, 顧宏革가 편집을 맡아 2012 12월 河北人民出版社에서 출판되었다. 이 당안집은 주로 買契(토지 매매계약서), 典契(토지·가옥 저당문서), 地契(토지문서) 등 토지·가옥 계약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시기적으로는 청대 후기부터 민국시기 문서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문서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전체 房契 당안은 계약 성립의 시간 순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청대 1, 북경정부시기 1, 남경국민정부 前期 1, 항일전쟁시기 3, 남경국민정부 後期 4冊의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공간적인 범위는 보정과 그 주변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수량은 6000여 건, 10冊에 달한다.

 

이 당안들은 민간에서 소장하고 있던 계약문서들이 아니라 민국시기 토지·가옥의 매매 관리를 담당했던 保定 財政局에서 현재 보정시당안국으로 인계되어 이관된 것들이다. 이들 계약문서 중간에 대부분 “作廢”라는 도장이 찍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문서들은 토지의 분할, 합병, 상속개명 등 각종 원인으로 인해 보정 재정국에 귀속되어 그 효력이 말소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당안들은 청 옹정시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초기까지 약 200여 년간 보정지역의 토지·가옥 매매 계약과 그 역사적 변천 상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당안자료는 민간의 산발적인 문서들과는 달리 보정지역 토지 관련 변화상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당안집은 청대 후기와 민국시기 보정일대의 토지 매매, 경제 발전, 賦稅제도 및 지역의 풍토와 정서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토지의 가격, 거래 비용, 매매의 절차, 매매 쌍방의 경제 상황, 소유권의 이전, 도시의 발전 등 근대 화북지구의 사회 경제를 이해하는데도 필수적인 자료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일정 지역의 대규모 토지 계약문서 당안은 상해, 북경지역 등지에서도 보이지만 『上海道契』(30, 上海古籍出版社, 2005)등으로 출판되었을 뿐 아직 그 정리와 출판은 더딘 상태이다. 따라서 이 자료집은 토지 계약문서 당안집으로는 선구적이라 할 수 있다.

 

근래 역사연구 경향으로, 특히 사회경제사 연구에서 민간에 다양하게 존재했던 민간문서의 가치가 점차 중시되고 있다. 그 예는 이미 1930년대 傅衣凌이 복건지역 지방 경제사 연구에서 대량의 계약문서를 이용했던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휘주문서의 발견과 정리는 사회 경제사 연구에서 그 가치가 “徽學”이라는 하나의 학문으로까지 발전하게 했다. 이러한 추세는 1990년대 이후 강남, 화북, 영남 지역 경제사 연구, 徽商, 晋商 등 지방상인 연구, 토지제도 및 소유권 연구 등에서 진행되어 구역 사회경제사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이 자료집도 그러한 연장선상에서 나온 성과물이다. 따라서 화북지역의 토지매매 계약의 변천과정 및 지역 사회경제사 연구에 참고할 만한 높은 사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0 comments
작성자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