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5 /2011.11] 소장자료소개 _ Religion in China: Containing
a Brief Account of the Three Religions of the Chinese: with Observations on the
Prospects of Christian Conversion Amongst that People(fourth edition)
Religion in China: Containing a Brief
Account of the Three Religions of the Chinese: with
Observations on the Prospects of Christian Conversion Amongst that People(fourth edition)
송요후 _ 인천대학교 HK 연구교수
저 자: Joseph
Edkins, D.D
출 판 사: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Ltd
출판년도: 1893
출 판 지: London
언 어: 영어
크 기: 16X24(cm)
쪽 수: 260
Joseph Edkins(1823.12.19-1905.4.23; 中國語名 艾约瑟)는 영국 개신교 선교사로, 중국에서 체재한 57년 가운데
30년을 북경에서 보냈다. Nailsworth에서 태어나
1843년에 London대학을 졸업했다. 1847년 12월에 선교사로 임명되었고, 런던 선교협회(the London Missionary Society)에 의해 파송되어
1848년 7월 22일에 홍콩, 같은 해 9월 2일에
上海에 도착했다. 처음에 그는 Wanter Henry Medhurst
아래서 상해에 있는 런던 선교협회 출판소에서 일했다. 중국학 학자로서, 중국 종교를 전공했다. 그는 또한,
언어학자, 번역가이며 문헌학자이다. 多作을 한
그는 중국 언어와 중국 종교 특히 불교에 대해 많은 책을 썼다. China's Place in
Philology(1871)에서 그는, 중국과 인도-유럽어의
어휘를 비교함으로써, 유럽과 아시아의 언어는 공통적 기원을 갖고 있음을 보이고자 하고 있다. 1852년부터 1858년까지 중국어 年鑑인 『華洋和合通書』(뒤에 『中西通書』로 알려짐)를 편집했다.
그는 聖經을 포함한 많은 서양 과학서적들을 번역하는데 王韜 등과 합작하였으며
왕립아시아학회 北中國支會(the North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회원으로 활동했다. 1850년대에 그는 上海와 寧波 지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하였다. 그는 또한 직접적인 복음전도에 관여해 Hudson Taylor를
수행하면서, 배로 운하를 여행하며 聖經과 기독교 교리서들을 배포하였다.
上海에 몇 년 있는 동안, 1860년 7월 그는 江蘇省 蘇州에서 太平天國軍 지도자들을 방문했다. 그는 이
운동의 정확한 신앙을 확인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태평천국의 지도자들과 몇 차례 접촉하였고 1861년 3월 말에는 太平軍이 장악한 南京에서 11일간을 지냈다.
그는 山東省 烟台를 거쳐 天津으로 거처를 옮겼고 1863년에 북경에 정착했다. 1872년 William Alexander Parsons Martin과 중국어 잡지 『中西聞見錄』(1875년 36號로 종결됨)을
발행하였다. 1880년에 런던 선교협회에서 사임하고 皇室海關(Imperial
Maritime Customs)을 위한 번역가가 되었다. 그는 海關監督에 의해 서구 과학작품들을
중국어로 번역, 편집하도록 임명되었고 그 결실이 『西學 啟蒙十六種』(1898. 동물학, 식물학, 화학, 지리학, 생리학, 논리와 그 외의 주제들에 대한 교재들을 포함)이다.
Joseph Edkins는 위에서 소개한 대로 많은 저작물들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The Religious Condition of the
Chinese; with Observations on the Prospects of Christian Conversion amongst
that People, London 1859(초판)이다.
이 책은 제2판에서, Religion in China:
containing a Brief Account of the Three Religions of the Chinese: with
Observations on the Prospects of Christian Conversion amongst that People(1877)로
제목이 바뀌었고, 현재 소개하는 것은 1893년 2월 London에서 출판된 제4판이다.
1859년에 발행된 초판은, 오랜 동안 절판되었다가, 제2판에서 4개 章들이 첨가되었다. 그것들
중의 하나는 황제 숭배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고 나머지 3개 章들은 불교 숭배의 명승지이며 매우
인기 있는 순례지인 五臺山에의 여행에 대한 설명이다. 그리고 이후의 판본들에서 책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책의 내용에서 주목이 되는 것은, 필자는
우선 중국인들은 종교를 갖고 있지 않다고 하는 당시 서구인들의 일반적인 견해에 異見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 토착인들은 자신들이 스스로 정성들여 만들었던 조상숭배에 만족하지 못하였고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불교도들을 받아들이게 하였고, 자신들의 나라에 적응된 불교 儀式과 문헌의 확립에 크고도 장기적인 관심을 기울였다고 한다. 만약 그들이 종교에 대한 신앙과 관습이 없이 만족해 왔다면, 그들은
이러한 것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많은 중국인들이 불교와 도교에 관한 讀書에 빠져 비록 西方極樂은
아니라 할지라도, 최소한 不死의 神―푸른 숲속, 아주 높은
산악이나 하늘에 있는 좀 멀리 떨어진 별에서 보이지 않게 살고 있다―의 상태를 기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국
그들은 진흙의 佛像들을 만들어 이것들을 숭배하였고, 또한 조상숭배의 냉냉함에의 반가운 보충물로서 道敎徒들의
신들과 그들의 숭배의 방식들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중국인들은 불교나 도교의 열렬한 신자들이라고 말하여질
수 없으며, 그들은 관습적으로 이들 종교들의 儀式에 따르고 있다고 한다.
그는 도교와 불교의 信條는 사람들에게 靈的 高揚을 주지 못한다고 하고, 이 책에서는 중국이 과거에 자신의 靈的 수요를 만족시키고자 얼마나 시도했는가를 보이고 있다. 당시의 토착 종교들의 약화가 이러한 욕구를 만족시켜 주지 못하는 상황에 있었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줄 수 있는 것과 같은 보다 더 건강한 종류의 가르침에 대한 매우 분명한 요구가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채택하는 것은 그들의 최고의 이익을 위한 것이 될 것이며, 그들에게 미래의 역사에 있어서 가장 유리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중국에서 개종자들의
수가 증가한 바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842년 중국의 문호가 개방된 이후 30여 년이 지난 1877년에 개신교도의 數는 1萬으로 증가했고 기독교 신자들은 당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었다. 개신교 선교 활동이 수행된 地點들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로마
카톨릭의 활동도 마찬가지로, 그 신자들은 數十萬을 헤아렸다. 당시
몇 년 동안 정치적 평화와 기독교의 수용이 법을 어기는 것이 아님이 황제에 의해 포고되면서,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는 지역(縣)들의 대부분에서 빈번한 세례들이 이루어졌다.
도시들에서보다 농촌 마을 주민에서 더 나은 포교의 전망을 보고 있는데, 왜냐하면 지식 계급의 영향력은 시골 지역들에서는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교양 계급의 태도는 기독교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았으며, 기독교에 관해서보다는 더 많은 의지를 갖고 서구의 과학, 지리, 그리고 정치학에 관한 책들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읽었다.
필자는 중국 문명을 아시아적(Asiatic)이라고
하여 근대화론적인 입장에 서서 중국인들을 ‘실리적’이며 ‘상상력이 부족하다’고 표현해 서구문명의 중국에 대한 우월감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다소 중국의 당시의 종교 상황을 보는 시각에 있어서 문제점이 없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당시 거의 아무도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던 민간 종교의
상황을 현장 조사를 통해 과학적으로 전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제15장 “이슬람교도, 유대교도, 그리고 無爲佛敎徒(Mohammedans, Jews, and Woo-Wei
Buddhists)”에서는 당시에 있어서 羅敎의 일파인 우상타파주의적인 無爲敎에 대해 소개히고 있다는 것과, 제16장 “太平叛亂(The
Taiping Insurrection)”은 비록 짧기는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그가 태평군 진영에 머물러 그들 지도자들과 접촉한 내용이 실려 있어 사료적으로도 상당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