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검색

제목
    논문1: 박노자 「동아시아와 능력주의 관료제의 탄생: 기원전 천년 중국을 중심으로」
    TIKHONOV Vladimir, East Asia and the Birth of Meritocratic Bureaucracy: Focusing on China in the First Millennium BC
저자 박노자 권호 Vol.2 No.2
언어 한국어 페이지 3
게재일 2021.07.31. PDF Download
키워드
    중국, 유라시아 국가, 관료, 능력주의, 가산 국가, 통치
    China, Eurasian states, Bureaucracy, Meritocracy, Patrimonialism, Governance
요약
이 논문은 주(周)에서 진(秦)에 이르기까지 관료국가 건설의 과정을 비 교 역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대개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초 기의 ‘국가’란 민(⺠)으로부터의 자원 수취를 위한 기제에 불과했으며, 그 구조 안에서 치자(治者)와 피치자(被治者)의 역할 배정은 세습적이거나 각종 혈연적 내지 가신적(家臣的) 등의 관계 설정에 좌우됐다. 아케메네스 왕조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등 국가 통치의 전통이 수 천 년에 이르는 지역들을 통치한 왕조 정부들도 가신들을 통해 민으로부 터 잉여를 수취하는 가산(家産) 국가의 모델을 탈피하지 못했다. 유라시아 대부분의 왕조 사회들은 사회적 통합을 이루지 못했으며, 치자와 피치자 는 서로 다른 종족ˑ문화 집단에 속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가산 국가 모델 을 탈피하려는 움직임들은 기원전 1천 년의 유라시아 곳곳에서 나타났지 만, 중국만큼 그 움직임이 크게 진척된 사회는 없었다. 이 논문은, 진나라 (기원전 221-206년) 시대에 이미 세계 최초의 정기적 관료국가를 건설했 으며, 그러한 중국의 ‘조기 관료화’는 몇 가지 요인에 힘입었다고 논증한 다. 첫째, 주나라(기원전 1046-221년) 시대의 전례 없이 치열한 전쟁들은 거대한 징병제 군대들의 편성과 차후 민간 관료 사회에도 적용된 ‘군공’ (軍功)에 의한 승진 시스템의 발전을 촉진했다. 둘째, 중동이나 인도의 사 회와 달리 중국에서 국가는 주요 종교적 및 의례적 기능까지 담당함으로 써 ‘공공’의 영역을 거의 독점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관료조직의 발전에 탄 력을 제공했다. 셋째, 상(商)나라 이후 거의 천년 정도의 관료조직 운영의 지속적 전통과 비교적 더 동질적인 인구 구성 등은 능력주의적 관료 문화 로의 전환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
Abstract The present paper is an attempt to look at the rise of a consolidated bureaucratic statehood in China in the late first millennium BC from the comparative historic perspective. As a general rule, the Bronze and later Iron Age statehood of the third to first millennia BC was a machine for resource extraction; the positions of the rulers and the ruled were typically inherited or otherwise contingent on clientelist ties, even in the Achaemenid Persia, Ptolemaic Egypt or Seleucid Empire, which ruled the areas with the longest statehood traditions in the world. The societies of the third to the first millennia BC were mostly unconsolidated, the rulers and the ruled often belonging to separate ethno-cultural groups. While the bureaucratic machines across the vast spaces of Eurasia were gradually advancing further than the original patrimonial model, this advance was nowhere as pronounced as it was in China which, by the Qin (221-206 BC) time, managed to construct the first-ever regularized bureaucratic empire in the world. This paper argues that such a development was brought forth by a unique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One among them was a very high intensity of warfare during the Zhou period (1046-221 BC). It facilitated the growth of conscript armies and merit-based promotion system in the military which was later applied to civil bureaucracy as well. Other factors include submersion of the main religious and ritual institutions into the state apparatus which was conducive to empowering the state, and was uncharacteristic for contemporary Middle Eastern or Indian states. In addition, China could by the Qin time boast an unbroken tradition of governance which stretched back through more than a millennium, and a society which was relatively more homogenized compared to its peers elsewhere in Eurasia. All these factors are understood to have contributed to China’s uniquely early bureaucrat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