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ISSN 2508-2884 (Online)

관행 톡톡
9월호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중공팔로군계모략단 일동회사건 자료》의 소개 (4) _ 이정희
프린트 복사 페이스북

경성지방법원형사사건기록 265·266의 문건은 주로 인천경찰서에서 피의자와 증인 신문을 담당하여 기록한 공문이 중심인데 반해, 경성지방법원형사사건기록문건번호 267부터 270까지는 인천경찰서 사법경찰관에 의한 증인신문조서, 공술서 이외에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및 동 법원 인천지청 검사분국 소속 검사에 의한 검증조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경성지방법원형사사건기록 267자료 가운데 피의자 방세현 검증조서는 2개가 존재한다. 첫번째 조서는 작성 월일이 분명히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1849쪽부터 1917쪽까지가 여기에 해당한다. 두번째 조서는 1943823일 작성된 것이며 21042156쪽이 여기에 해당된다.

 

첫번째 조서에는 지도가 8, 사진이 39점이 들어가 있고, 두번째 조서에는 지도 4, 사진 31점이 들어가 있다. 첫번째 조서는 경성지방법원 인천지청 검사분국 검사 나카노 츠요시(中野毅) 3명의 검사와 조선총독부재판소 서기에 의해 작성되었고, 두번째 조서는 나카노 검사 1명과 서기 1명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정희1.jpg     이정희1-2.jpg

사진 1. 용현동 소재 화농 방세현의 주택 사진 및 배치도(1943)

 

지도는 방세현의 거주지인 日之出町(현재의 용현동) 169번지의 농가와 주변의 상황을 상세히 기록한 것과 방세현, 방세능, 왕지신이 함께 生火球(초보적인 형태의 다이너마이트)를 제조한 현장을 농가의 배치도로 나타냈다. 그리고 3명에 의해 방화한 오다후쿠와타 위생공장의 배치도 등을 지도로 작성했다. 이러한 지도뿐 아니라 당시로서는 고급의 사진 촬영이 이뤄졌다. 생화구 제조를 입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방세현주택의 전경, 하수구, 생화구 제조가 이뤄진 부엌, 방세현의 거실, 우물, 돼지우리 등이 사진으로 촬영됐다.

 

그런데 이러한 지도와 사진은 일동회사건과 관련해서 중요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당시 화교 농민(화농)의 농가를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주목된다. 화농은 조선화교 인구 가운데 1930년대는 전체의 2, 1940년대 초반은 3할을 차지할 정도로 조선화교의 주요한 직업 가운데 하나였다.

 

특히, 인천은 인천부와 그 주변의 부천군 다주면, 남동면, 문학면에 화농이 대량으로 채소를 재배하여 인천부 상업용 채소의 7할을 공급하는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화농의 농가가 어떤 구조로 이뤄져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없었다. 이 자료를 보면, 화농의 농가는 집 한가운데 우물이 있었고, 채소재배를 위한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 돼지를 키워 돼지우리서 흘러나오는 분뇨를 비료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오다후쿠와타 위생공장은 군용으로 사용할 위생용 솜을 생산하는 공장이었다. 이외에 지도와 사진에는 이 공장 내부의 배치도와 타래풀메기기건조실, 조선농약주식회사 공장, 학익정국민학교, 히타치제작소(日立製作所) 사택 등이 포함되어 있어, 현재의 용현동 일대가 1943년 당시 공업지대였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경성지방법원형사사건기록 270문건 가운데 방세능·왕지신 검증조서는 방세영이 왕지신을 범행에 유인한 장소인 仁川府營靑物 도매시장의 지도와 사진이 첨부되어 있다.

 

이정희3.jpg

사진 2. 신포동 소재의 인천부영청물도매시장 입구(1943)

  

인천의 화농은 재배한 채소를 新町(현재의 신포동) 1번지 소재의 인천부영청물도매시장에 내다 판매했다. 지도와 사진에 의하면, 인천부영청물도매시장은 야채 도매시장과 청물 도매시장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 시장은 원래 화농의 채소 판매 시장으로 시작되었고, 19273월 인천부의 공설시장으로 편입됐다. 이 채소시장은 해방후 현재의 신포시장 일대로 바뀌었다.

 

한반도화교와 베트남화교 마주보기 26


이정희 _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


                                                          


* 참고문헌

이정희. 2022, “중일전쟁 시기 인천화교 조직 일동회(日東會)의 항일활동-중공팔로군계모략단 일동회사건 자료의 소개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제100, pp. 381-412.

인천시립박물관. 2022, “화교들의 항일운동-1943년 인천, 일동회 전시회 팸플릿”.

이정희. 2018, 한반도 화교사: 근대의 초석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경제사, 동아시아, 2018, pp. 470-471.

 

** 이 글에서 사용한 이미지와 표는 필자가 제공한 것으로 출처는 다음과 같음.

사진 1, 2. 국사편찬위원회 전자도서관 홈페이지

프린트 복사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