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ISSN 2508-2884 (Online)

관행 톡톡
10월호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중공팔로군계모략단 일동회사건 자료》의 소개 (5) _ 이정희
프린트 복사 페이스북

『경성지방법원형사사건기록』은 그동안 의문 속에 있던 화취창(和聚昌) 주단포목상점 폐점의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해 준다.




폐점 직전의 화취창 정문의 모습.jpg

사진 1. 1943년 문을 닫기 직전의 화취창 상점의 정문


인천부 지나정 6번지 소재의 화취창 주단포목상점은 규모가 큰 상점이었다. 현재의 태림봉 중국집 자리이다. 화취창의 연간 매상액은 1923년에 405,000(현재의 화폐가치로 약 400억원에 상당)이었다. 인천부의 화교 경영의 주단포목상점 가운데 화취창의 연간 매상액을 능가하는 상점은 덕순복(德順福) 800,000, 영래성(永來盛) 600,000원의 두 상점밖에 없었다. 서울 소재 화교 경영의 주단포목상점 가운데 화취창을 능가하는 상점은 유풍덕(裕豊德), 서울 덕순복, 광화순(廣和順), 서태호(瑞泰號)밖에 없었다. 화취창은 조선의 화교 경영 주단포목상점 가운데 열 손가락 안에 반드시 들어가는 규모가 큰 상점이었다.


근대 조선화교 경제의 중심은 주단포목상점이었다. 화취창과 같은 주단포목 도매상점은 마직물(삼베), 견직물(비단), 면직물을 중국 상하이와 일본 오사카에서 수입하여 전국에 널리 퍼져있던 화교 경영의 소매상점에 판매했다. 화교 경영의 주단포목상점은 전국에 2,116개로 일본인 경영 상점 714개를 훨씬 능가하여 조선인 경영 상점 8,302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전국 주단포목상점의 2할을 차지했다. 화교 주단포목상점은 화취창처럼 규모가 큰 도매상점이 비교적 많아 전체 판매액 기준으로는 3할을 차지했다. 화교 주단포목상점이 일상생활의 ’()의 분야에서 이 정도의 비중을 차지했다는 사실은 놀랄 만하다. 화취창은 그러한 화교 주단포목상점을 대표하는 상점의 하나였던 것이다.

 

화취창 실내의 모습.jpg

사진 2. 1943년 문을 닫기 직전의 화취창 상점의 내부

 

이러한 화취창이 1943년 갑자기 문을 닫았다. 화취창의 창업자 楊翼之의 장남 楊建民이 기록한 祖業事蹟冊에는 화취창 점원이 항일활동을 하다 검거되었다는 점이 계기가 되었다고만 적혀 있었다. 그런데 경성지방법원형사사건기록19436월 화취창의 점원 손건치(孫建治)와 양종악(楊從諤)이 인천경찰서에 항일활동 혐의로 체포됐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른바 일동회사건 연루 혐의였다.


인천경찰서가 일동회 회원 일망타진에 총력을 기울여 19436월 체포한 첫 화교가 다름아닌 손건치였다. 손건치는 산동성 양마도 출신으로 고향에서 소학교 초급 및 고급 8년 과정을 마쳤다. 1936년 봄 조선으로 이주하여 황해도 신천에서 부친의 잡화상점에서 일한 후, 1939년 화취창 점원으로 취업했다. 손건치는 동향의 지인의 소개로 일동회에 가입했으며, 주동자의 한 명으로 지목되어 8차례의 심문을 받았다. 양종악은 같은 양마도 출신으로 양익지의 친척이었다.


조선을 떠들썩하게 했던 일동회사건에 2명의 점원이 연루되어 체포된 화취창이 제대로 영업하기는 곤란했다. 인천경찰서 소속 경찰이 화취창을 자주 드나들어 조사했다. 이런 화취창에 누구도 상품을 사러 가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화취창은 영업을 정지하고 문을 닫지 않을 수 없었다. 이로써 1903년 유성잔(裕盛棧)으로 시작된 화취창은 개업 40년째 되는 해에 막을 내렸다



한반도화교와 베트남화교 마주보기 27


이정희 _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


                                                          


참고문헌

이정희. 2022, “중일전쟁 시기 인천화교 조직 일동회(日東會)의 항일활동-중공팔로군계모략단 일동회사건 자료의 소개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제100, pp. 381-412.

이정희. 2017, “중일전쟁 시기 조선화교의 항일활동”, 동양사학연구 139, pp. 337-370.

인천시립박물관. 2022, “화교들의 항일운동-1943년 인천, 일동회 전시회 팸플릿”.

 

** 이 글에서 사용한 이미지는 필자가 제공한 것으로 출처는 다음과 같음.

사진 1, 2. 국사편찬위원회 전자도서관 홈페이지.

프린트 복사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