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공간
12월호
인쇄 닫기
한중 교류, ‘인간적 관계’가 결정적이다 _ 김판수

상하이에서 10년 이상 장기 체류하며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끌고 있는 한국경제인들을 인터뷰하다보면 대다수가 자수성가했음을 알게 된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부터 2010년까지 중국 GDP는 연평균 12% 정도 성장했으니, ‘무엇을 해도 되는 시기아니었냐며 당연한 결과로 치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주지하다 시피 실패한 사람도 꽤 많이 있었다. 따라서 그 성공의 이유를 도출하기 위해 여러 차례 깊은 대화를 시도하면 개인 노력이외에 그나마 쉽게 드러나는 요인들이 바로 부동산과 배우자 효과이다.

 

2-3차례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시도하면 의외로 많은 분들이 부동산 수익을 통해 위기를 쉽게 극복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꺼내 놓는다. 예를 들어, ‘1-2년간 사업이 어려웠던 시기에 가족 분들도 많이 힘들어하지 않았는가라고 질문을 했는데, 그 대답은 놀랍게도 전혀 그렇지 않았다였다. 부동산 수익은 사업 성공과 인과 관계로 연결될 수 없지만, 대신 사업 실패를 막는 중요한 요인이었던 셈이다. 예를 들어, 상하이 아파트 1개를 매도하면 그 수익으로 생활비, 사업 유지비, 심지어 자녀교육비까지 충당하며 몇 년을 버틸 수 있었다고 한다. 상하이 아파트 가격이 15년 동안 평균 15배에서 20배 정도 올랐다고 하니 그럴 법도 하다.

 

그래도 경제적 활동에 몰두했던 시기에 어떻게 부동산 투자까지 챙길 수 있었는지에 대해 좀 더 파고들어가 보면, ‘배우자 효과가 드러난다. 예를 들어, 남편이 회사 생활에 온전히 시간을 투여해서 생활비를 벌고 있을 때, 아내 쪽은 소자본을 굴려 오히려 막대한 부동산 자본을 축적했고, 심지어 아내들은 친구들과 함께 동업자 집단을 꾸려 구매력을 높여 더 큰 수익을 남겼다.

 

조금 예외적인 사례가 중국인배우자 효과이다. 일부 한국경제인들은 십 수 년 전 어떻게 중국인과 결혼할 수 있느냐는 가족과 친구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랑의 힘에 의지하여 어렵게 결혼에 골인했다. 당시만하더라도 상하이에서는 한국인 프리미엄이 작용했었기에 학력, 직업, 심지어 집안까지 좋은 중국인 여성과 결혼하는 것도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이들은 결혼 후 일종의 특권까지 얻게 된다. 한국처럼 중국에서도 외국인이 사업 할 수 있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는데, 이들은 중국인 배우자명의로 중국인 사업 영역에 뛰어들었고, ‘당시로서는 세련되지 못했던중국인 경쟁자를 쉽게 따돌리며 크게 성공할 수 있었다.

 

현재 상하이 아파트 가격은 표면적으로 1평 당 약 2,000만원으로 서울과 비슷한 편이다. 그러나 상하이시 면적(6,300 제곱미터)은 서울시 면적(600 제곱미터)10배 이상이고, 상하이 인구도 약 2,400만 명으로 서울의 2.4 배 정도 많음을 고려하면, ‘도시상하이 아파트 가격은 서울 아파트 가격보다 상당히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상하이에서 한국인 프리미엄은 거의 사라졌다.

 

이제 중국 경제 성장률도 6-7% 대에 머물고 있으니, 과거처럼 한국경제인이 중국 제1의 경제도시 상하이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일으키고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중국은 여전히 광활하다. 1선 도시 상하이를 벗어나면 2선 도시(난징, 우한 등)는 물론 3선도시에서의 기회도 열려있고, 그 곳에서는 한국인 프리미엄이 여전히 남아있다. 물론 장기적으로 사드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어야만 하겠지만...

 

어쨌든 상하이 한국경제인이 어떻게 상하이에서 자수성가했고 또 사업을 안정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었는지에 대한 그들의 진짜 대답이 남아 있다. 2년 이상 심층 인터뷰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의외로 매우 소박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누구도 힘주어 강조하지는 않았지만, 한국경제인들은 주변의 일반 중국인들과 인간적 관계를 맺어왔고, 심지어 가족 간에도 활발한 교류를 해왔다고 한다. 결국 이 인간관계가 모든 것을 결정해온 셈이다. 그리고 이것이 그들을 중국에 계속 붙잡아두는 이유 중 하나이다. 왜냐하면 해결하기 어려운 일에 봉착하면, 결국 깊이 교제해온 중국인들이 마치 자기 일처럼 나서서 도와주고 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것은 그 누구도 이 인간적 관계꽌시라는 용어와 연관 짓지 않았다는 데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 한국경제인은 매우 의미심장한 말을 풀어놓았다. 한국인들은 꼭 만 터지면 밥 먹자고 해요. 평소에 연락 없던 한국인이 밥을 먹자고 하면 일부러 경계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일이 없을 때 같이 밥을 먹고, 진짜 이 터지면 터놓고 이야기를 하죠.”

 

현재 한중 교류는 한중수교 25주년을 맞이했다. 그 동안 우리 사회는 중국하면 꽌시를 떠올렸고 또 그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제 다가 올 한중수교 50주년은 꽌시가 아니라 인간적 관계의 중요성을 회고하는 자리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그것이 한중 교류의 모든 것을 결정할 것 같다.


004lCYRPgy6PbjGro0T3f.jpg


김판수 _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연구교수


                                        


*  이 글은 '아주경제'와 인천대 중국학술원이 공동 기획한  『아주차이나』 [仁차이나 프리즘] 2017년 11월 2일에 게재된 것을 수정한 것임.

**   이 글에서 사용한 이미지의 출처는 다음과 같음.

http://blog.sina.com.cn/s/blog_ed78eb990102vh0c.html